부모와 아이 사이의 대화는 아이 성장 발달에 굉장히 큰 영향을 끼칩니다. 말을 시작하면서 여러가지 감정 표현을 언어로 표현하기 시작하는데 이때 부모의 역할이 굉장히 중요합니다. 아이는 자신의 작은 소리에도 관심을 쏟는 부모에게 신뢰를 얻고 안정감을 느끼는데요. 대화의 기술만 잘 익혀도 아이를 올바르게 키울수가 있습니다. 부모와 즐겁고 따뜻한 대화를 나누지 못한 아이는 올바른 아이로 성장할 수 없음을 기억해주세요. 아이의 질문에 건성으로 대답하거나 말을 자르고, 부모 마음처럼 아이가 말하지 않는다고 화를 내는건 절대 좋은 방법이 아니에요. 아이와의 대화에서 지켜야 할 대화법을 전해드릴게요.

 |
아이의 감정을 부정하지 마세요 |
부모가 아이와 원활한 대화를 나누기 위해서는 아이의 감정을 부정하지 말고 받아들여야 합니다. 대부분은 아이의 감정을 제대로 받아주지 못하고 아이와 대화가 아닌 언쟁을 벌이기도 하는데요. 아이의 감정을 무시한 채 부모의 입장만 강요하게 되면 아이와 부모 사이에는 적대감만 쌓이게 됩니다. 아이의 말을 집중해서 진지하게 들어주고 공감해 주기만 해도 아이는 스스로 해결책을 찾아가기 때문에 아이의 감정을 부정하려고만 하지 말고 받아들이려고 하는 모습을 아이에게 보여주세요.

 |
잔소리 대신 있는 그대로 이야기 해주세요 |
많은 부모들은 잔소리가 아이에게 아무런 효과가 없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는데요. 잔소리는 대부분 부모가 기분이 좋지 않을 때 하기 때문에 잔소리를 들은 아이는 기분이 상하고 알아서 하려던 것도 더 하기 싫어지게 됩니다. 아이에게 잔소리가 아닌 대화를 하고자 한다면 아이를 관찰한 것이나 문제점을 이야기 하는 것이 좋아요. 예를 들어 아이가 컴퓨터 게임을 계속 하고 있다면 "컴퓨터 게임을 지금 몇 시간째 하고 있는 거니?" 라는 말 대신 "컴퓨터 게임을 이제 그만하는 게 좋겠다" 하고 말하는 거에요. 아이의 행동을 지적할 때는 잘못을 꼬집어 말하거나 비난하는 대신 아이에게 정보를 주는 게 적절합니다. 벽에 낙서한 아이에게 "한 번만 더 벽에 낙서하면 혼날 줄 알아" 라는 말보다 "그림은 벽에다 그리는게 아니란다. 종이에다 그리는 거야" 라고 말하면 아이 스스로도 무엇을 해야 할지 알게 됩니다.

 |
아이의 인격을 존중하는 선에서 불만을 표시하세요 |
아이에게 벌을 주면 잘못된 행동을 고칠 것 같지만 현실은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아이는 반항심과 복수심에 사로잡히고 결국 아이 스스로 자신의 잘못과 마주하는 중요한 내적 과정을 빼앗기게 되는데요. 아이에게 벌을 주지 않고도 잘못된 행동을 고칠 수 있는 방법은 얼마든지 있습니다. 먼저 아이를 혼내지 말고 부모의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해 보세요. 부모가 먼저 아이에게 솔직하게 다가가면 아이는 그러한 부모의 모습을 받아들이게 돼요. 그리고 불만을 표시하더라도 아이의 인격은 존중해주세요. 인격을 존중해주면 아이의 성장과 성격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꼭 기억해두세요.

 |
너무 많은 질문은 삼가해 주세요 |
아이의 독립심을 키워주기 위해서는 아이 스스로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해 가면서 실수를 통해 배우게 하는 게 중요한데요. 부모가 대신 해줄수록 아이는 적대감이 쌓일 수 있습니다. 도움을 받으면 도움을 도와주는 사람에게 고마운 마음보다는 무력감이나 불만, 좌절을 더 크게 경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인간 심리가 부모로 하여금 아이를 혼란에 빠뜨리는 거에요. 아이의 의존도를 최소한으로 줄인다면 아이의 독립심을 길러주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기억하세요. 아이에게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아이의 노력을 존중해주며 옆에서 지켜봐야 하는게 부모가 해야 할 일입니다. 가급적이면 아이에게 너무 많은 질문을 하지 않도록 해주고 아이의 질문에 서둘러 대답하지 말고 천천히 설명을 해주면서 이야기해주세요.

아이는 부모의 말 한 마디에 자신감이 쑥쑥 자라기도 하고 상처를 받기도 합니다. 그만큼 평소 부모가 아이에게 하는 말은 무척이나 중요한데요. 아이의 기분을 이해해 주고 격려해 주는 부모의 말 한마디에 아이의 인생이 바뀔 수도 있다는 걸 꼭 기억하세요. 그러기 위해서는 아이와의 대화가 얼마나 중요한지, 대화에도 기술이 필요한지를 생각하고 아이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해서 대화를 하시기를 바랄게요.
[이미지 출처] 1, 2, 3, 4, 5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