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도 고혈압이 생길 수 있을까요? 네! 나이가 어린데도 고혈압이 있을 수 있어요. 소아 고혈압은 1~2%정도 발생하며 예전에는 대부분 고혈압의 이차적 원인 때문인 경우가 많았지만, 요즘 들어 소아 비만인 아이가 늘어나면서 성인과 같은 일차성 고혈압의 빈도가 높아지는 추세라고 해요.
혈압은 시기를 달리해서 3번 이상 측정하는 것이 원칙이며, 이 혈압이 같은 연령/같은 성/같은 키 소아의 혈압 분포표에서 백분위 95%이상일 경우 '소아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소아 고혈압'이 위험한 이유는 어린나이부터 혈압이 높은 상태이기 때문에 발병기간이 길어져 여러가지 합병증을 일으킬 여지가 있기 때문이에요. 미국과 같은 경우 3세부터 모든 소아가 매년 혈압을 측정하게 하지만, 국내에서는 '어린이가 무슨 고혈압?!'이라는 인식이 강한 듯 해요. 하지만 소아기의 높은 혈압은 성인 고혈압으로 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증상'과 '원인'을 분명하게 파악하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해요.
![]() |
고혈압은 왜 위험할까요? |
혈압은 피가 혈관 속을 흐를 때 혈관 벽에 부딪혀서 생기는 압력이에요.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피를 내보낼 때의 혈압이며, '이완기 혈압'은 심장이 잠깐 쉬고 있을 때의 혈압인데요, 보통 혈압 검사를 하게되면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함께 적어 준답니다. 그런데 이 혈압이 높다는 것은 뭘 의미할까요?
피가 흐르는 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히면 피가 잘 흐를 수가 없게 되겠죠? 그래서 혈압이 높아진답니다. 만약 계속 압력을 받던 혈관이 터져버려, 약한 뇌혈관이 손상된다면 신체의 한 부분이 마비된다거나 말을 하지 못하는 등 큰일이 일어날 수도 있어요.
![]() |
우리 아이의 혈압, 어떻게 측정할 수 있을까? |
1. 남아/청소년 고혈압
정상혈압 : 90 백분위수 미만
고혈압 전단계 : 90~95 백분위수 또는 이보다 적더라도 120/80mmHg이상
고혈압 1단계 : 95~99 백분위수 +5mmHg 사이
고혈압 2단계 : 99백분위수 +5mmHg 이상
나이 |
혈압 백분위수 |
수축기 혈압, mmHg |
이완기 혈압, mmHg |
||||
키 백분위수 |
키 백분위수 |
||||||
5% th |
50% th |
95% th |
5% th |
50% th |
95% th |
||
5세 |
50% th |
90 |
95 |
95 |
50 |
53 |
55 |
90% th |
104 |
108 |
112 |
65 |
68 |
70 |
|
95% th |
108 |
112 |
116 |
69 |
75 |
74 |
|
99% th |
115 |
120 |
123 |
77 |
80 |
82 |
|
10세 |
50% th |
97 |
102 |
106 |
58 |
61 |
63 |
90% th |
111 |
115 |
119 |
73 |
75 |
78 |
|
95% th |
115 |
119 |
123 |
77 |
80 |
82 |
|
99% th | 122 | 127 | 130 | 85 | 88 | 90 | |
15세 | 50% th | 109 | 113 | 117 | 61 | 64 | 66 |
90% th | 122 | 127 | 131 | 76 | 79 | 81 | |
95% th | 126 | 131 | 135 | 81 | 83 | 85 | |
99% th | 134 | 138 | 142 | 88 | 91 | 93 |
표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키가 50 백분위수인 5세 남아 혈압의 95 백분위수는 수축기 혈압이 112mmHg, 이완기혈압은 72mmHg정도로 이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할 수 있어요.
2. 여아/청소년 고혈압
정상혈압 : 90 백분위수 미만
고혈압 전단계 : 90~95 백분위수 또는 이보다 적더라도 120/80mmHg이상
고혈압 1단계 : 95~99 백분위수 +5mmHg 사이
고혈압 2단계 : 99백분위수 +5mmHg 이상
나이 | 혈압 백분위수 | 수축기 혈압, mmHg | 이완기 혈압, mmHg | ||||
키 백분위수 | 키 백분위수 | ||||||
5% th | 50% th | 95% th | 5% th | 50% th | 95% th | ||
5세 | 50% th | 89 | 93 | 96 | 52 | 54 | 56 |
90% th | 103 | 106 | 109 | 66 | 68 | 70 | |
95% th | 107 | 110 | 113 | 70 | 72 | 74 | |
99% th | 114 | 117 | 120 | 78 | 79 | 81 | |
10세 | 50% th | 98 | 102 | 105 | 59 | 60 | 62 |
90% th | 112 | 115 | 118 | 73 | 74 | 76 | |
95% th | 116 | 119 | 112 | 77 | 78 | 80 | |
99% th | 123 | 126 | 129 | 84 | 86 | 88 | |
15세 | 50% th | 107 | 110 | 113 | 67 | 65 | 67 |
90% th | 120 | 123 | 127 | 78 | 79 | 81 | |
95% th | 124 | 127 | 131 | 82 | 83 | 85 | |
99% th | 131 | 134 | 138 | 89 | 91 | 93 |
표 : 보건복지부, 대한의학회
키가 50 백분위수인 10세 여아 혈압의 95 백분위수는 수축기 혈압이 119 mmHg, 이완기혈압 78mmHg정도로 이 이상이면 고혈압으로 진단할 수 있어요.
![]() |
소아 고혈압의 원인과 증상은 무엇일까요? |
사춘기 이전 고혈압의 원인은 주로 신장질환과 연관된 원인이 가장 많으며, 사춘기 이후에는 성인과 같은 일차성 고혈압이 가장 흔한 원인이에요. 연령별에 따라 소아 고혈압의 원인이 달라질 수 있으니, 한 번 확인해보세요.
척추마취 : 신혈관성 질환, 신실질성 질환, 선천성 신기형, 대동맥 축착증, 약물
1세까지 : 대동맥 축착증, 신혈관성 질환, 신실질성 질환
1-6세 : 신실질성 질환, 신혈관성 질환, 대동맥 축착증, 내분비 질환, 일차성
6-12세 : 신실질성 질환, 신혈관성 질환, 일차성, 대동맥 축착증, 내분비 질환
12-18세 : 일차성, 신실질성
고혈압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로는 스테로이드, 메틸페니데이트(주의력 결핍장애에 흔히 이용되는 약물), 에페트린(자극제 또는 욕구 억제제로 사용되는 아드레날린 작용성 화합물), 소염진통제, 카페인, 가성에페드린 등이에요. 그리고 최근에는 원인 질환없이 나타나는 고혈압 환자도 늘어나고 있는데요. 그 원인은 '소아 비만' 그리고 '나트륨 섭취'와 연관이 있어요. 나트륨을 많이 섭취하는 소아는 적정량의 나트륨을 섭취하는 아이보다 고혈압 발병 확률이 2~3배 높답니다.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초기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요. 그러나, 이차적 원인이 있다면 그 원인에 따른 특징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고혈압이 있는 소아가 맥박이 빠르게 뛴다면 갑상선기능항진증이나 갈색세포종과 연관이 있을 수 있으며, 다리의 혈압이 팔보다 낮다면 대동맥 축착증을, 성장장애가 있다면 만성 신부전을, 비만이 있다면 일차성 고혈압이나 내분비 질환 등을 의심해볼 수 있어요.
소아 고혈압과 관련해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아이누리 온라인상담(→바로가기)을 이용해보세요~^^ 성인 고혈압과는 달리 소아 고혈압은 젊은 나이에 여러가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생활환경 개선과 치료가 필요하다는 점! 잊지마세요~!
건강육아를 위한 정보
소아 아토피, 증상과 한방 치료 노하우 (0) | 2015.12.18 |
---|---|
추운 겨울철, 수족냉증을 완화시켜주는 음식 4가지 (0) | 2015.12.04 |
침 삼킬 때 목 아픈 이유는 무엇일까요? (0) | 2015.11.26 |
비만인 우리 아이, 올바른 소아 다이어트 방법 알려주기 (0) | 2015.11.23 |
코피 자주나는 아이, 원인과 지혈법 알아보기 (0) | 2015.11.19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