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요즘은 3~4세부터 게임중독이라고? 게임중독 벗어나기

본문

반응형
SMALL

요즘 지하철 풍경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전부 스마트폰으로 시선을 떨구고 게임을 하기 바쁩니다. 요즘은 아이들도 스마트폰 중독, 게임 중독에 시달리면서 학습이나 정서에 문제를 일으키는데요. 이렇게 어릴 때부터 게임에 빠지게 되면 성장하면서 많은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설마 우리 아이가 게임 중독일까..?


게임 중독 진단


혹시 우리 아이가 게임을 너무 많이 한다고 생각이 드시나요? 한 번 게임을 손에 잡으면 놓지 못하는 아이, 게임 말고는 다른 것에 집중을 못하는 아이 등 게임 중독이 부모들의 큰 육아 문제 중 하나가 되었습니다. 혹시나 게임 때문에 성격이나 성적에 영향을 주진 않을지 걱정이 되실거예요. 


아이의 게임 시간이 적당한지, 혹시 중독 증상으로까지 나아가진 않았는지, 중독에서 벗어나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드릴게요. 먼저 중독 체크리스트를 통해 아이의 게임 중독 정도를 체크해보세요.

인터넷 게임 중독 성향 척도

(전혀 그렇지 않다 : 1점 / 가끔 그렇다 : 2점 / 자주 그렇다 : 3점 / 항상 그렇다 : 4점)

점수(1~4점)

1. 처음에 마음먹었던 것 보다 더 오래 게임을 하게 된다.
2. 게임으로 시간을 보내느라 다른 해야 할 일을 소홀히 한다.
3. 가장 친한 친구와 노는 것보다 게임을 더 좋아한다.
4. 게임으로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에 대해 가까운 사람들이 불평한다.
5. 게임으로 많은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성적이나 학교일에 지장을 받는다.
6. 공부나 해야 할 일을 하기 전에 먼저 게임부터 하게 된다.
7. 게임 때문에 학습능률이 떨어진다.
8. 게임이 없다면 생활이 지루하고, 허전하며, 기쁨이 없을 것이라고 걱정한다.
9. 게임을 하지 않을 때에도, 게임에 대한 생각으로 꽉 차 있거나 접속하는 것을 상상한다.
10. 게임을 할 때, “조그만 더 하고 그만 두어야지”라고 생각하면서도 계속한다.
11. 게임하는 시간을 줄이려고 노력하지만 실패한다.
12. 남들과 밖에서 놀기보다는 게임으로 시간 보내는 걸 택한다.
13. 게임을 하지 않을 때는 우울하거나 신경이 날카롭다가도 게임을 하게 되면 그런 기분이 사라진다.
14. 게임 때문에 부모님께 자주 꾸중을 듣는다.
15. 게임을 오래 해서 허리가 아프다.
16. 게임을 오래 해서 눈이 침침하다.
17. 가끔 현실과 게임 공간이 구분 안 될 때가 있다.
18. 게임을 오래해서 머리가 아프다.
19. 밥 먹는 것도 잊고 게임을 하는 경우가 많다.
20. 게임을 하느라 씻는 것도 귀찮아졌다.
21. 학교에서 돌아오면 다른 일이 있어도 게임부터 한다.
22. 게임을 많이 해서 수업시간에 조는 횟수가 늘었다.
23. 게임을 하고 있지 않는데도 게임을 하는 느낌이 든다.
24. 게임 속의 인물처럼 행동하고 싶을 때가 있다.
25. 게임을 하는 도중 주인공이 다치거나 죽으면 마치 내가 그러는 느낌이 든다.

점수 합계(25~100점)


이 척도에서는 게임 중독 성향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25점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총점 26점 이상부터는 점수가 높아질수록 게임 중독 성향이 높음을 의미합니다.

출처 : 웅진교육문화연구소


게임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아이가 게임을 많이 해서 걱정이 된다고 무작정 게임을 못하게 만드는 것은 아이를 더욱 자극할 수 있습니다. 무작정  못하게 하면 부모와 아이 사이에 갈등의 폭만 더 넓어져요. 게임을 하는 시간을 점차로 줄이면서 다른 놀이와 교육방법을 찾아보세요. 또한 게임의 안 좋은점, 게임을 통해 발생하는 문제들을 차근차근 교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게임 중독 체크리스트


아이가 어릴 때부터 부모와 소통하는 법을 잘 익힌다면 성장하면서도 부모와 대화가 잘 될거예요. 대부분 게임 중독에 빠지는 아이들은 현실의 스트레스를 이겨내고 싶어 다른 곳으로 주의를 돌리는 것이거든요. 아이와 대화를 많이 할수록 아이도 게임 의존도가 줄어든답니다. 


게임 대신 운동이나 음악 등 다른 취미를 만들어 주는 것도 좋아요. 부모와 아이가 함께 할 수 있는 취미를 갖는 것도 좋습니다. 건강한 취미에 먼저 재미를 느낀다면 게임보다도 더욱 즐거운 유년 시절을 보낼 수 있을거예요.


아이 게임 중독 예방 실천법

1. 게임 한 번에, 실천 하나 하기 

▣ 게임을 하고 나면 책을 읽는다는지, 학습지를 푼다든지 게임 한 번을 하고 난 후에는 다른 해야 할 일을 실천할 수 있도록 약속해보세요.

2. 시간은 정해놓고 하기

▣ 횟수는 상관 없이 하루에 1~2시간 정도로 정해놓고 하도록 해주세요. 

3. 폭력적인 게임은 지양해주세요.

▣ 폭력적인 게임에 중독되면 헤어나오기 힘들뿐더러 아이에게 안 좋은 영향만 끼친답니다. 아이가 게임을 할 때는 어떤 게임인지 주의를 기울여 살펴보는 것이 좋아요. 


아이는 부모의 사랑을 먹고 자란다는 말이 있습니다. 부모가 사랑과 관심을 가져준다면 게임 중독을 막을 수 있어요. 꼭 못하게 하기보다는 게임도 하되, 부모와 함께 꾸준히 할 수 있는 것들을 찾아보세요. 오늘부터 스마트폰과 컴퓨터는 내려놓고 밖으로 나가보세요 ;)


[이미지 출처] : 1,2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