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기 아이들은 감기, 장염 등 각종 감염성 질환에 잘 걸리고 어른들보다 체온이 더 높기도 해서 열나는 일도 자주 생기는데요. 병원이 문닫은 저녁에 아이의 열이 펄펄 오르면 엄마는 당황 할 수 밖에 없죠. 응급실에 데려가도 곧바로 치료가 이뤄지는 것은 아닌데요. 이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열이 난다고 해서 감기려니 하고 감기약을 먹이는 것이 좋은 방법일까요? 이런 방법은 좋은 방법이라고 볼 수 없는데요. 아이가 한밤중에 열이 오를 때 엄마가 당황하지 않고 집에서 할 수 열 내리는 방법 3가지를 알려드릴게요.
![]() |
먼저 아이의 체온을 재주세요 |
36.5 ~ 37도 = 정상
37.5 ~ 37.9도 = 미열
38도 이상 = 열
39~40도 이상 = 고열
41도 이상 = 악성 고열
![]() |
통풍이 잘 되도록 아이의 옷을 벗겨 주세요 |
아이가 차고 있는 기저귀만 남기고 옷을 다 벗겨주세요. 열이 심하다면 기저귀도 벗겨주는 것이 열 내리는 방법입니다. 열을 떨어뜨리려고 갑자기 찬물에 담그거나 차가운 냉찜질을 하려고 하면 아이가 너무 추워 놀라서 울고 떨게 될 수도 있으니 주의하셔야해요. 우선 아이 옷을 벗겨 시원하게 해주고 '미지근한'물로 찜질을 해주세요. 찜질하다가 아이가 떨면 오한이 그칠 때까지 찜질을 멈추고 얇은 타월을 한장 덮어주고 손발을 따뜻하게 해주세요. 옷을 다 벗긴 후 아이가 실례할 것을 대비해서 헝겊 기저귀를 바닥에 깔아두는 것이 좋아요 ^^
![]() |
물수건으로 아이의 몸을 닦아주세요 |
![]() |
수시로 물을 먹여주세요 |
바로 병원에 가야 하는 발열
- 생후 3개월 이전 아기의 항문으로 잰 직장 체온이 40도 이상일 때
- 생후 3개월 이후 아이의 항문으로 잰 직장 체온이 40.3도 이상일 때
- 아이가 전에 열성경련을 일으킨 경우
- 열이 나면서 경기를 하거나 몸이 처질 때
- 물 마사지와 해열제를 써도 열이 떨어지지 않을 때
- 해열제를 먹였는데도 3일 이상 열이 지속될 때
- 39도 이상 고열일 때
아이가 열이나는 부분을 쉽게 생각하고 넘기시면 절대 안됩니다. 아이들은 성인보다 열나는 일도 많고 각종 질환에도 잘 걸리는데요. 6세 아래 아이들은 열이 38.3도만 넘어도 경기를 일으키기도 하니 반드시 신경써 주셔야 하고 열을 내려줘야만 합니다. 오늘 소개한 열 내리는 방법 3가지를 꼭 기억하시고 실천을 해 보세요. 그리고 전문의의 진찰을 꼭 받으세요. 집 안 온도도 다소 서늘해야 열을 내리기 좋으니 1~2시간 간격으로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켜주고 실내온도를 22~23도로 맞춰주세요.
소아항문질환 , 치루와 치열을 잘 예방하려면? (0) | 2014.04.30 |
---|---|
유치원생 어린이날 선물 추천 3선 (0) | 2014.04.29 |
아이에게 상처주는 엄마의 말 5가지 (0) | 2014.04.23 |
봄철 먼지 주의보, 황사와 미세먼지의 차이점 (0) | 2014.04.22 |
아이와의 대화에서 지켜야 할 대화법 (0) | 2014.04.1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