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O자 휜다리의 교정과 오해와 진실

본문

반응형
SMALL

곧고 바른 일자 다리는 남녀 누구나 바라는 것인데요. 자녀가 길게 쭉 뻗은 다리라면 좋겠죠. 하지만 O자나 X자로 휜 다리라면 그 자녀는 휜다리에 대해 콤플렉스가 되어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뿐만 아니라 휜 다리만큼 신장도 줄어들어 키에 예민한 자녀라면 걱정이 많을거예요. 휜 다리는 약한 경우엔 큰 통증을 유발하지 않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 피로감을 많이 느끼고 퇴행성 관절염이 빨리 생길 수 있습니다. O자 다리는 좌식에 익숙한 생활 습관이나 어릴 때 많이 업히는 것도 원인으로 볼  수 있지만 유전적이고 선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오다리 자가진단

병원에서 엑스레이 판정을 받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혼자서도 어느정도 자가진단이 가능합니다. 누운 자세에서는 진단이 어려우므로 서서 앞뒤 발끝을 모으고 서서 다리 사이의 가장 많이 벌어진 부분을 확인합니다. 다리 사이가 가장 벌어진 부분에 자를 대고 확인을 합니다. 가장 많이 벌어진 부분이 7~9cm이거나 무릎뼈가 안쪽으로 향해있다면 O자형 휜다리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 2세까지는 O자 다리가 정상이에요

O자다리는 내반슬이라고 해서 다리를 모아 섰을 때 발은 붙었는데 무릎이 떨어져 O자로 보이는 다리를 말하며 그 반대의 경우를 외반슬, 또는 X자 다리라고 하는데요. 태어날 때부터 걸음마를 시작할 때까지는 O자다리가 성장입니다. 4세 경에는 X자 모양을 보이다가 6세 이후에는 보행을 하고 척추가 발달하면서 차츰 일자다리가 됩니다. 


휜다리는 대부분 뼈가 휜 것이 아니라 골반과 고관절, 대퇴골이 이루는 정상적인 각도가 비뚤어져 발생하는 것으로 의자나 소파에서 생활하는 입식 생활이 아닌 양반다리를 하는 좌식생활이 반복되면 고관절이 과도하게 틀어지게 됩니다. 이런 원인도 있겠지만 휜다리는 유전적이고 선천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좌식생활

성장판이 닫힌 것에 따라 치료가 달라져요

성장판이 아직 열려있는 소아라면 교정치료 효과가 있지만 성인의 경우 성장판이 모두 닫힌 경우로 뼈와 연부조직이 이미 굳어서 운동치료, 재활치료로 교정이 어렵습니다. 성인이라면 다리모양이 더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트레칭이나 요가, 근력운동을 해주면 다리의 근력을 키워주어 휜다리가 더 악화되지 않게 합니다.


양반다리, 다리꼬기는 자제해요

휜다리는 미관상의 이유 뿐만 아니라 관절이 비틀어지면서 약해져 관절염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교정을 할 수 있는 시기이든 아니든 가장 중요한 것은 척추변형이 더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잘못된 자세로 오래 앉아 있거나 걷는 경우, 다리를 꼬고 앉거나 비뚤게 오랜시간 앉아있는 경우, 바닥에 앉을 때 오랜시간 양반다리로 앉아서 골반이 틀어지게 되는 것도 영향을 줍니다. 또한 다리를 꼬고 앉거나 오랜시간 양반다리로 앉아서 골반이 틀어지게 됩니다. 


다리꼬기

성장기에 무거운 책가방을 메고 다니는 경우에도 다리를 휘게 만드므로 무리가 될 만큼의 무게는 들지 않는 것이 필요합니다. 성인 여자의 경우 굽이 높은 신발을 오래 신으면 걸음걸이의 무게중심이 바깥 축으로 이동되어 다리에 부담이 되므로 힐을 신었을 때 무리하지 않는 것이 필요합니다. 


올바르게 걷는 방법

뒤꿈치부터 바닥에 닿게 걸으면서 엄지발가락으로 땅을 차듯이 걸으면서 약간 보폭을 크게 해주는 걸음을 합니다. 그리고 팔은 다소 힘차게 흔들어주고 허리는 반듯하게 펴고 턱을 약간 든다는 기분으로 자신있는 느낌으로 걷습니다. 


가만히 있을 때, 서 있을 때, 앉아 있을 때의 다리 모양을 곧게 만들어야 척추 건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어릴 때부터 자녀의 자세를 바르게 알려주세요.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