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랜스지방, 많이 들어봤을 말인데요 불포화지방의 일종인 트랜스지방산(트랜스형 분자구조의 불포화지방산)과 글리세롤이 결합한 것을 트랜스지방(trans fat)이라고 합니다. 액체 상태의 불포화지방은 산소를 만나면 부패되기 쉬운 성질이 있어 이를 방지하고 보관상의 용이함을 목적으로 고체 상태로 가공하게 됩니다. 액체 상태의 불포화지방을 고체로 만드는 과정에서 수소를 첨가하게 되는데 이 때 트랜스지방이 만들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이런 트랜스지방은 몸에 득이 되는 것이 하나도 없기 때문의 섭취를 자제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
백해무익한 트랜스 지방 |
트랜스지방은 자연계에는 존재하지 않고 불포화지방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쇼트닝과 마가린이 있습니다. 버터의 경우 100% 순수 우유로 만든 버터는 트랜스 지방이 없으며 쉽게 말해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 조심해야합니다. 트랜스지방은 혈액 내 나쁜 콜레스테롤수치를 높이고 좋은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추는 작용을 해서 심혈관질환의 발병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알레르기, 면역력 저하, 당뇨, 암 발생률을 높입니다.
![]() |
가공식품, 과자에 많이 들어있어요 |
우리가 흔히 먹는 음식 속의 트랜스지방은 햄버거, 치킨과 같은 패스트푸드, 과자나 팝콘 등의 가공식품, 도너츠, 패스트리와 같은 빵류, 외식을 하면서 접하게 되는 음식 곳곳에 트랜스지방이 숨어있습니다. 흔히 볶음밥을 할 때나 빵을 구우면서 식물성 기름 대신 마가린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이는 식물성 기름보다 향기가 좋고 빵이 더 바삭해지기 때문입니다. 가공식품에 트랜스지방이 많이 들어있습니다.
![]() |
트랜스 지방 없는 건강한 식습관은? |
마가린과 쇼트닝은 가격이 저렴한 편인데요. 그래서 중국음식점이나 치킨과 같은 튀김을 주로 하는 음식점에서 자주 쓰게 됩니다. 트랜스 지방 섭취를 줄이기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지방섭취량을 줄이는 것으로 튀김을 해야하는 음식의 경우 외식을 줄이고 가정에서 사 먹는 것이 좋습니다. 가정에서 튀김을 하더라도 식용유의 사용량을 5회 이하로 줄여서 깨끗한 상태의 기름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가정에서 음식을 할 땐 마가린과 쇼트닝보다는 쇼트닝 free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아이누리한의원 건강정보 더보기
편식하는 아이 유형 알아보고 현명하게 대처해요! (0) | 2014.12.22 |
---|---|
천연 조미료 다시마, 멸치, 새우, 표고버섯으로 요리해요 (2) | 2014.12.17 |
11월 제철과일 귤, 감기예방에도 좋아요 (0) | 2014.11.14 |
가을 식중독, 방심은 금물! (0) | 2014.10.27 |
글루텐프리, 다이어트 식품은 아니에요! (0) | 2014.10.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