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춘이 지나면서 점점 해도 길어지고 낮 최고기온도 점점 높아지면서 조금씩 봄 기운을 느낄 수 있습니다. 봄이 오면 꽃이나 나무가 푸르게 다시 태어나는 것처럼 사람들도 활력을 얻고 활동적으로 변하게 되죠. 그래서 봄이 되면 온 가족, 아이들과 함께 나들이, 소픙, 여행을 떠나는 분들이 참 많습니다. 하지만 봄이 됬다고 해서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 있습니다. 바로 '봄철 건강' 관리에 주의해야 하는데요.

특히 아이들은 면역력이 약해서 알레르기, 황사, 심한 일교차에 의해 여러 질환이 생길 수 있어요. 그래서 오늘 아이누리한의원 블로그에서는 우리 아이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봄철 건강관리법 3가지에 대해 소개해드릴까 합니다. 어떻게 하면 면역력이 높아져서 아이들에게 튼튼한 신체를 줄 수 있을까요?
1. 몸이 찬 아이, 환절기에 주의해야 해요

날씨가 조금 따뜻해졌다고해서 외출 할 때 옷차림에 신경을 덜 쓰면 안됩니다. 왜냐하면 봄철이어도 낮과 밤의 일교차가 크게 벌어지기 때문에,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이 감기에 걸리기 쉬워요. 그래서 입었다 벗었다 하기 쉬운 겉옷을 꼭 챙겨 외출해야 합니다. 만약 아이가 추위에 약하다면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노력이 필요하겠죠?

몸이 차가운 아이라면 보약으로 기력을 증진시켜주면 환절기에 감기를 예방할 수 있답니다. 아이들의 기력을 증진시켜주는 보약 뿐만 아니라 평소에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생강이나 인삼 등을 이용해 차를 먹여주면 더욱 좋아요? 만약 환절기에 아이가 감기가 걸렸다면 호흡기 치료에 도움이 되는 약재를 먹이는 것도 좋습니다. 대표적으로 갈근, 맥문동, 길경, 행인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랄게요~^^
2. 황사엔 이렇게 대비하세요!

봄철에는 환절기에 의한 일교차 뿐만 아니라 다른 위험요소가 매우 많습니다. 바로 '황사'인데요. 황사에는 흙먼지 뿐만 아니라 미세먼지, 초미세먼지가 포함되어 우리나라로 넘어오기 때문에 기관지가 약한 아이들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그래서 봄에는 건강관리 뿐만 아니라 황사마스크를 잘 준비해야해요. 외출 전, 꼭 황사마스크를 씌우고 몸에도 최대한 접촉되지 않도록 가벼운 스카프나 목도리도 둘러주면 좋습니다.
그리고 식사를 할 때에는 최대한 면역력을 높여주는 음식들을 선별해서 먹이면 좋아요. 저희가 이전에
"미세먼지로부터 우리 아이 지키는 특별한 음식 5선"에서도 미세먼지에 좋은 음식들을 소개한 적이 있는데요. 평소에 수분 섭취를 늘려주고 도라지, 마늘, 해조류, 녹차 등을 먹이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봄철에 주의해야 할 것이 황사뿐만 아닙니다. 꽃가루가 많이 날리는 봄철에는 알레르기도 조심해야해요. 알레르기도 별거 아닌 것 같지만 알레르기 반응이 심한 아이에게는 정말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주로 삼나무 꽃가루와 송홧가루에 의해 봄철 알레르기가 많이 생기는데요. 알레르기가 심한 아이라면 최대한 꽃이나 나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알레르기로 피부염, 두드러기가 나타난다면 신속히 치료받아야겠죠?
3. 스트레스는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주요인이에요
몸에 좋은 음식, 운동 등 신체적인 부분만 잘 관리하면 무조건 건강할 수 있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신적인 부분도 우리 신체에 아주 막대한 영향을 끼쳐요. 특히 정신적인 스트레스는 우리 몸의 면역력을 떨어뜨리는 주범이랍니다. 물론 아이들이라면 어른들에 비해 스트레스를 받는 요인이 적을 수 있지만 그래도 아이들에게 스트레스가 되는 일들을 최소화시켜주는 것이 좋아요.

예를 들어서 너무 어릴 때부터 공부나 미래 직업적인 것을 강조하거나, 심한 구박, 요구도 아이들에게 큰 스트레스가 되어 면역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를 줄여주면 몸에 엔돌핀이 증가하고 신체의 면역력도 자연스럽게 올라가게 되요.
아이들의 면역력을 높여주는 봄철 건강관리법은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인 건강을 함께 배양해주는 것입니다. 어떤
운동이나 취미를 부모와 아이들과 함께 공유하면서 건강한 음식, 올바른 생활패턴을 유지한다면 봄, 여름, 가을, 겨울 4계절 모두 건강한 아이로 성장할 수 있을거에요. 오늘 소개한 면역력을 높이 봄철 건강법을 참고하셔서 여러분의 아이를 건강하게 키우시길 바랍니다 ^^
사진 출처 : 1, 2, 3, 4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