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설태, 백태 등 아이 혓바닥으로 알아보는 건강

본문

반응형
SMALL

혓바닥은 인간에게 맛을 느끼게 해줄 뿐만 아니라 그밖에 여러가지 기능을 해요. 말을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음식물을 씹을 때 옮겨주기도 하죠. 또한 건강을 체크하는 지표가 되기도 하는데요. 건강이 어딘가 안 좋을 때 혓바닥에 이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서 설태나 백태가 끼는 경우인데요. 간혹 우리 아이에게 밥을 주다가 혓바닥에 이물질들을 발견하곤 해요. 아이들 혓바닥에 설태나 백태는 왜 생기며 이는 어떤 징후일까요?

  백태(설태)란 무엇일까요?

일반적인 혓바닥의 색깔은 연분홍색을 띄고 있습니다. 그리고 흰색 물질이 보이기도 하지요. 이런 혓바닥은 건강한 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 누렇거나 심하게 하얀 이물질이 끼기도 하는데요. 가끔 검은색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이를 백태(설태)라고 부르는데요. 흰색이 많이 끼면 백태라고도 부르며 검게 보이면 흑설이라고도 부릅니다. 가벼운 설태는 지극히 정상적인 현상이지만 너무 심한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우리 아이 혓바닥에 설태가 생기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혓바닥 색깔


첫번째 원인은 바로 곰팡이나 세균에 의해서입니다. 성인의 경우에는 입안에 생긴 세균에 의해 생기게 되는데요. 또한 영유아의 경우에도 입 안에 세균이 잘 생길 수 있습니다. 모유를 먹거나 우유를 먹고난 뒤 우유 찌꺼기에 남아있는 진균류, 칸디다 알비칸스의 감염으로 백태가 생기게 되는거죠. 그래서 모유나 분유를 먹는 신상아들에게 백태가 자주 발견된답니다. 또한 아이의 경우 입을 꼭 다물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곰팡이가 잘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되어 생기기도 합니다.

혓바닥 설태


두번째, 아이의 몸이 안 좋아 열이 나거나 항생제를 먹였을 경우나 영양상태가 좋지 않아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 설태가 쉽게 발생하기도 합니다. 항생제 치료는 구강 내 병원체의 균형을 깨뜨려 설태를 유발할 수 있어요. 만약 이 설태를 계속 방치하게 되면 설태가 까맣게 변하고 구강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마치 처음에 하얗던 곰팡이가 시간이 지나면서 검게 죽는 것과 비슷하죠.

  설태 제거하는 방법

아이의 입이 건조하지 않은지 살펴봐주세요. 입이 건조해서 침 분비가 감소하면 혀에 설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설태가 생긴 같은 아이라도 입이 건조한 아이에게 설태가 더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 꾸준한 수분을 섭취하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겠죠? 그리고 아이에게 양치를 해줄 때 꼭 혓바닥도 같이 닦아주셔야해요. 양치를 시키면서 혀를 닦아주지 않는 경우가 의외로 많았습니다. 혀를 닦아주지 않으면 세균이 혀에 그대로 남아서 충치균, 기타 균이 번식할 수 있어요. 이는 충치와 설태, 구강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 칫솔이나 혀 클리너로 살살 닦아주시면 좋습니다.

아이 백태


하지만 혀에 있는 모든 설태를 없애는 것도 좋은 방법은 아니예요. 설태는 혓바닥의 수분을 유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미각을 관장하는 미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모든 설태를 제거하는 것은 어리석은 행동이예요. 설태를 없애기 위해서 혀를 너무 박박 닦는 것도 혀 건강에 좋지 않고요. 아이에게 비염이나 부비동염이 있다면 아이의 설태, 구취의 원인이 될 수 있으니 다른 호흡기 질환도 없는지 잘 관찰해주세요.

  혀 색깔로 알아보는 아이 건강

설태 뿐만 아니라 아이의 혓바닥 색깔로 아이의 건강을 체크할 수 있어요. 혓바닥 색깔이 갑자기 변했거나 이상하게 느껴지신다면 아래 글을 보고 간단하게 진단해보시길 바랍니다 ^^

1. 붉은색 혀
아이의 혓바닥이 빨간색이라면 위궤양이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폐병이나 높은 열이 있을 수도 있어요. 혈압이 높을 때에도 혓바닥이 붉은 경우가 많습니다.

2. 청자색 혀
급성남당염, 간경변증, 담성증 등 호흡, 순환기계통 장애나 감염 증상이 있을 때 혓바닥이 파랗게 되기도 합니다.

아이 설태


3. 흰색 설태가 낀 흰색 혀
설태가 끼는 이유는 위에서 쭉 설명해드렸죠? 갑자기 열이 있거나 체력이 허약해졌을 때,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았을 때, 그리고 양치를 제대로 하지 못했을 때 일시적으로 하얗게 될 수 있습니다.

4. 검은색 혀
검은색 혓바닥은 흰색 설태가 오래되서 까맣게 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주 좋지 않은 징후라고 할 수 있어요. 소화기 질환이 아주 심하거나 어떤 질병이 오래 지속되었다면 검은색일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아요.

5. 누런색 혀
소화기 질환이나 화농성 질환을 가지고 있을 때 혓바닥이 누렇게 변하기도 합니다. 황달을 의심해볼 수도 있습니다.

이제 아이들 혓바닥만 보고도 대충 아이의 건강상태를 체크해보실 수 있겠죠? 약간 설태가 끼는 것은 아무런 문제가 없으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돼요. 만약 설태가 너무 많이 낀다면 올바른 양치법과 수분섭취를 잘 해주시길 바랍니다. 또한 호흡기 질환이나 다른 계통 질환과 연관성이 있을 수도 있으니 혓바닥만 보지 마시고 비염이나 후두염, 부비동염 등이 있는지도 꼭 함께 살펴보시길 바랄게요~ ^^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