혓바닥은 인간에게 맛을 느끼게 해줄 뿐만 아니라 그밖에 여러가지 기능을 해요. 말을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음식물을 씹을 때 옮겨주기도 하죠. 또한 건강을 체크하는 지표가 되기도 하는데요. 건강이 어딘가 안 좋을 때 혓바닥에 이상이 생기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서 설태나 백태가 끼는 경우인데요. 간혹 우리 아이에게 밥을 주다가 혓바닥에 이물질들을 발견하곤 해요. 아이들 혓바닥에 설태나 백태는 왜 생기며 이는 어떤 징후일까요?
백태(설태)란 무엇일까요?
일반적인 혓바닥의 색깔은 연분홍색을 띄고 있습니다. 그리고 흰색 물질이 보이기도 하지요. 이런 혓바닥은 건강한 혀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 누렇거나 심하게 하얀 이물질이 끼기도 하는데요. 가끔 검은색으로 변하기도 합니다. 이를 백태(설태)라고 부르는데요. 흰색이 많이 끼면 백태라고도 부르며 검게 보이면 흑설이라고도 부릅니다. 가벼운 설태는 지극히 정상적인 현상이지만 너무 심한 경우에는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우리 아이 혓바닥에 설태가 생기는 원인은 무엇일까요?
첫번째 원인은 바로 곰팡이나 세균에 의해서입니다. 성인의 경우에는 입안에 생긴 세균에 의해 생기게 되는데요. 또한 영유아의 경우에도 입 안에 세균이 잘 생길 수 있습니다. 모유를 먹거나 우유를 먹고난 뒤 우유 찌꺼기에 남아있는 진균류, 칸디다 알비칸스의 감염으로 백태가 생기게 되는거죠. 그래서 모유나 분유를 먹는 신상아들에게 백태가 자주 발견된답니다. 또한 아이의 경우 입을 꼭 다물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곰팡이가 잘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이 되어 생기기도 합니다.
두번째, 아이의 몸이 안 좋아 열이 나거나 항생제를 먹였을 경우나 영양상태가 좋지 않아 면역력이 떨어지게 되면 설태가 쉽게 발생하기도 합니다. 항생제 치료는 구강 내 병원체의 균형을 깨뜨려 설태를 유발할 수 있어요. 만약 이 설태를 계속 방치하게 되면 설태가 까맣게 변하고 구강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마치 처음에 하얗던 곰팡이가 시간이 지나면서 검게 죽는 것과 비슷하죠.
설태 제거하는 방법
아이의 입이 건조하지 않은지 살펴봐주세요. 입이 건조해서 침 분비가 감소하면 혀에 설태가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설태가 생긴 같은 아이라도 입이 건조한 아이에게 설태가 더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아이에게 꾸준한 수분을 섭취하게 해주는 것이 중요하겠죠? 그리고 아이에게 양치를 해줄 때 꼭 혓바닥도 같이 닦아주셔야해요. 양치를 시키면서 혀를 닦아주지 않는 경우가 의외로 많았습니다. 혀를 닦아주지 않으면 세균이 혀에 그대로 남아서 충치균, 기타 균이 번식할 수 있어요. 이는 충치와 설태, 구강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니 칫솔이나 혀 클리너로 살살 닦아주시면 좋습니다.
엄마를 위한 돌잔치 정보
비염, 천식 예방하는 침구류 세탁 노하우소아우울증 10가지 증상과 4가지 예방법 (0) | 2015.10.05 |
---|---|
자주 배 아픈 아이, 소아 복통 해결해주는 방법 (0) | 2015.09.30 |
무릎 아픈 아이, 성장통일까? 성장통의 증상과 해결방법 (0) | 2015.09.07 |
낮엔 덥고 밤엔 추운 환절기, 우리아이 큰 일교차 유의하세요! (0) | 2015.09.03 |
아기 변 색깔, 모양으로 알아보는 건강 체크리스트 (2) | 2015.08.26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