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인줄 알았던 아이가 손과 발에 물집이 잡히면 수족구병이 아닌지 살펴보세요. 예전에는 여름에 자주 생기는 질병이었지만 전염성이 강해서 요즘에는 새학기 때도 수족구병이 유행되는 경우가 종종 있어요.
수족구병의 증상은 손과 발, 입에 물집이 잡히는 병으로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피부에 수포나 물집이 잡히고 난 후 일주일에서 열흘 정도가 지나면 회복이 되는게 보통입니다. 하지만 수족구병의 증상이 3일 이상 열이 지속되고 기운이 없고 식은땀을 흘리며, 열이 펄펄 나서 아무것도 잘 먹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여서 드물게는 머리가 아프고 소아뇌막염이 걸리는 등 뇌와 심장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는 무서운 병이지요.
이렇게 무서운 수족구병이 생후 6개월에서 다섯 살까지의 영유아들에게 가장 많이 나타난다는 것이 부모님의 걱정을 한층 더하고 있습니다. 수족구병은 감염성 질병인 만큼 주의가 꼭 필요합니다~
수족구병은 특별한 치료법이 없습니다. 열이 나면 해열제 등의 약을 복용하는 것이 전부지요. 치료가 까다로운 만큼 예방이 정말 중요한데요, 개인 청결을 꼭 챙겨야 한답니다.
1 양치질과 손 씻기의 생활화!
코와 목의 분비물, 침, 물집의 진물, 그리고 감염된 사람의 대변에 직접 접촉 시에 전염될 수 있으므로 환자와 접촉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도록 합니다.아이와 함께 손씻기 송을 따라 부르면서 손씻는 습관을 만들어주세요.
2 환자 아이와의 신체 접촉을 제한한다
수족구병이 의심된다면? 바로 병원으로 가야하며 전염성이 있으므로 완전히 회복될 때까지 어린이집 등의 보육시설에 보내지 않도록 합니다 만일 수족구병이 감염된 영유아가 수일 내에 사지위약 등 급성 이완성 마비증상을 보이는 경우 조속히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3 수족구에 걸렸을 때 먹이면 좋은 음식
수족구병은 입과 혀에도 발진이 생기기 때문에 자극적인 음식이나 딱딱한 음식은 피해야 합니다. 이럴 때는 쉽게 먹을 수 있는 죽이나 계란찜 등을 해주는 것이 좋아요. 뜨거운 음식 또한 자극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부드럽게 넘길 수 있도록 적당히 식혀서 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차가운 음식은 입 안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차가운 물이나 우유를 먹이는 것이 좋습니다. 찬 우유나 아이스크림은 입을 시원하게 해주기 때문에 좋지만, 깨끗한 거즈로 입 안을 닦아서 세균이 번식하지 않도록 도와주어야 해요.
소아변비 원인과 예방하는 식습관 (0) | 2013.02.23 |
---|---|
한약 먹을 때 양약, 감기약 같이 먹어도 될까요? (0) | 2013.02.20 |
소아비만 궁금증, "잘 먹는 우리아이 비만일까?" (0) | 2013.02.14 |
봄방학 때 단체생활증후군 이겨내는 면역력 키우기 (0) | 2013.02.13 |
장염에 좋은 음식 3가지와 예방 생활습관 (0) | 2013.02.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