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유치원 생활, 학교 생활 등 단체생활에 적응을 하느라 아이들이 피곤해지는 3월이에요! 이럴 때는 엄마의 정성이 들어간 요리로 아이들에게 힘이 되는 밥을 만들어주고 싶은게 엄마 심정이죠. 하지만, 항상 같은 것만 주는 것 같아서 미안하셨죠?
아이들이 편식이 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그 중 하나는 아이 자신이 맛없다고 생각했던 음식이 계속 식탁에 올라올 때도 아이가 밥을 안 먹고 편식이 될 수 있어요. 같은 재료라도 여러 조리법을 활용하거나 양념이나 간을 할 때 매번 다른 방법을 시도해보는 것이 아이에게도 다양한 음식을 맛볼 수 있는 기회가 됩니다.
3월의 건강 식단과 함께 소개하는 아이 요리 비법은 이유식이나 요리 베이스인 육수를 만드는 법이에요. 같은 미역국이라도 어느 날은 쇠고기 미역국, 어느 날은 간장 미역국, 어느 날은 굴미역국 처럼 육수 베이스에 따라서 요리가 천차만별로 달라진답니다. 특히, 이유식을 만들 때 육수는 인위적인 간을 하지 않아도 음식의 맛을 살려주는 역할을 해요.
3월의 건강식사 정보 : 육수를 미리 만들어놓고 쉽게 요리해요.
육수를 먼저 끓여서 필요한 요리에 바로 쓰면 그만큼 음식을 하는 시간도 줄고 감칠맛 나는 요리가 될 수 있어요. 육수는 만들어두고 일주일 이내로 먹는 것이 좋아요. 육수를 보관하는 밀폐용기 위에 육수를 낸 날짜를 적어놓으면 더 빨리 소비할 수 있어요. 안그러면 수십분씩 시간을 들여 만든 육수를 미처 사용하지 못하고 버릴 수도 있어요. 냉동실에 국물을 보관하는 방법도 있지만 해동하는 것이 귀찮고 육수를 냉동실에 넣었는지 잊어먹을 수가 있어요. 육수를 냉동실에 보관했다고 하더라도 한 달 이내에 먹어야 한다는 것 잊지 마세요~. ^^
다시마국물 만들기
1. 다시마는 표면의 오염을 제거하고 세로로 잘라 찬물에 1시간 정도 불립니다.
2. 불린 다시마를 물과 함께 냄비에 넣고 끓입니다.
3. 끓기 직전 다시마를 건져내요. 국물이 식으면 체에 밭쳐놓고 국물을 낸 후 냉장보관합니다.
**더 시원한 맛을 위해 멸치를 넣는 것도 좋아요.
멸치국수 만들기
1. 멸치는 머리와 내장을 제거하여 손질한 다음 물에 5분 정도 담가 놓습니다.
2. 냄비에 물과 멸치를 넣고 뚜껑을 열어놓은 채 끓입니다.
3. 끓기 시작해 10분 정도 지나면 불을 끄고 체에 밭치도록 합니다.
조개국물 만들기
1. 해감시킨 조개와 물을 냄비에 넣고 끓입니다.
2. 조개가 입을 벌리면 10분 뒤에 불을 끈 채 그대로 10분 정도 둡니다.
3. 조개는 걸러내고 체에 받쳐 국물을 걸러냅니다.
**깨끗하고 시원한 맛을 내는 조개국물은 이것만으로도 훌륭한 천연조미료가 됩니다.
쇠고기육수 만들기
1. 양지머리는 적당한 크기로 잘라 물에 담가 핏물을 빼놓습니다.
2. 냄비에 양지머리와 대파, 물을 넣고 물이 2/3 정도로 줄어들 때까지 끓입니다.
3. 불을 끈 다음 국물을 식혀 냉장보관합니다. 기름이 위에 응고되면 걷어내고 국물을 씁니다.
**버섯 전골이나 쇠고기가 들어간 국에 활용하면 더욱 깊은 맛을 얻을 수 있어요.
닭고기 육수 만들기
1. 닭고기를 손질해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습니다.
2. 냄비에 닭고기와 물을 넣고 끓이다가 끓으면 거품을 걷어내고 약한 불에서 1시간 이상 은근히 끓입니다.
3. 차갑게 식혀 기름을 걷어내도록 합니다.
**닭고기 육수는 만두국이나 떡만두국을 만드는 데 넣어 먹으면 더욱 맛있어요.
요리 초보 엄마들을 위한 육수 잘 만드는 법을 동영상으로 소개해요~~.^^ 서울예술전문대학의 수업 시간 동영상인데요. 블링블링 신군이라는 애칭을 갖고 있는 신효섭 쉐프의 동영상인데요. 육수를 내고 남은 닭은 닭백숙처럼 먹어도 좋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시금치된장국 봄 건강식 : 아이누리 건강식단 (1) (0) | 2013.03.27 |
---|---|
다이어트 간식 추천, 아기 간식 건강하게 선택하는 방법 (0) | 2013.03.02 |
설날 명절에 살 찌지 않고 건강해지는 2월 건강식단표 (0) | 2013.02.02 |
아이 건강 필수 식품 10가지와 맛있게 먹는 법 (0) | 2013.01.17 |
한약 먹을 때 금기음식과 좋은 음식 (4) | 2013.01.12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