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조부모 아기 키우기, 손주사랑 듬뿍 황혼육아의 장점

본문

반응형
SMALL

자녀를 출산하기 전부터 부부가 고민하는 것, 바로 아이를 돌봐줄 곳입니다. 부모라면 직접 자녀를 키우고 싶은 마음이 있겠지만 이와 반대로 여성의 사회진출도 증가하여 육아의 큰 변화가 생겼습니다. 또한 교육비 및 육아비의 증가 등으로 맞벌이를 하는 부부가 많아졌고 이를 대신하여 아이를 맡길 곳이 필요해졌습니다. 매일 뉴스에서 유아폭력이나 아동학대 사건들 속에서 믿고 자녀를 맡아줄 조부모님이 있다는 것은 부모로서 크나큰 복이기도 합니다. 조부모님이 자녀육아를 한다는 것은 아이에게 정서적 안정 뿐만 아니라 가족애와 어른공경을 배우는 기회가 됩니다.


조부모 육아



조부모육아, 자녀의 정신적 건강을 도와줍니다.


  여성의 일과 가정 양립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정부에서 출산장려금, 교육료 지원, 육아휴직제도 등의 정책을 내고 있지만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고 저출산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자녀양육비와 교육비의 부담이 클 뿐만 아니라 아이를 맡길 곳은 마땅치 않은 사회가 그 이유인데요. 맞벌이 부부의 30%가 조부모님이 키우고 있다고 대답했습니다<엄마, 아기를 부탁해요/심순영, 2012> 아기를 돌봐줄 다양한 시설이 있지만 꼭 마음에 드는 곳을 찾기가 어렵고, 조금 괜찮다 싶은 곳은 비용이 부담스러워 맡기기가 망설여집니다. 조부모와 공동육아를 하면 여성의 일과 가정 양립을 통해 안심하고 출산, 양육을 돕습니다. 


  조부모와 함께 있을 때 자녀의 정서적 안정을 돕습니다. 

미국 유타주의 10세~14세의 어린이 40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유년기에 조부모와 생활한 아이들이 학업성취도 향상(87%), 자아정체성 향상(90%), 학교 출석률 증가(58%), 위험한 행동 감소(66%)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습니다. 맞벌이부부의 경우, 여성의 육아휴직이 끝나면 육아도우미나 어린이집에 맡기는데 돌봐주는 사람이 계속 바뀌면 낯가림이 있고 안정이 필요한 시기에 불안해하고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조부모님이나 가까운 친척이 돌봐주는 것이 자녀에게 편안함을 느끼게 하고 결과적으로 학교생활과 사회적응을 돕습니다. 


부모 육아


  위급한 상황에서 조부모의 노련한 육아스킬이 도움이 됩니다. 

잔병치레를 많이 하는 아기일수록 육아 경험자의 경험이 도움이 됩니다. 아픈 아기보다도 부모가 더 놀라서 조치를 못 취할 경우가 있는데 이때 노련한 경험을 가진 조부모님의 응급 처치가 큰 위력을 발휘합니다. 또한 기저귀를 가는 것, 목욕을 시키는 것, 음식을 만들어 먹이고 사고를 부르는 행동은 미연에 알려주는 등의 수월한 조부모는 건강한 자녀가 자라는 밑거름이 됩니다. 맞벌이부부는 평소에 잘 돌봐주지 못하는만큼 필요 이상으로 관대하거나, 장난감 등의 물건을 사주면서 애착을 회복시키려고 하는데 조부모 육아는 부모마음의 안정에도 큰 역할을 합니다. 



자녀의 교육과 육아는 조부모와 부부가 조율해 나가세요.  

조부모에게 아기를 맡기는 경우 성격이나 교육적 부분에서 부정적인 영향이 있지 않을까 고민하는 맞벌이 부부들이 있습니다. 부모의 마음보다 소극적인 교육 방식에 불만을 갖기도 하고 무엇이든지 오냐오냐 들어주는 양육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내 아이의 육아, 교육의 책임은 부모라는 것을 기억하세요. 조부모님과 부모가 상호작용을 잘 하면서 키운다면 엄마 혼자서 키우는 자녀보다 훨씬 풍부한 감성과 시각을 가지고 자랍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조부모님 손에서 자란 남자아이의 성격은 안정감이 높아지고 여자아이는 안정감과 배려심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조부모님과 아이의 부모는 양육에 있어 갈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문제는 양육을 바라보는 차이에서 오는 마찰이고, 이런 대립은 서로의 입장을 존중하고 상대의 말을 경청하는 노력으로 해소 할 수 있습니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라는 외국속담이 있습니다. 가족 뿐만 아니라 이웃, 지역사회 모두가 노력해야 비로소 한 아이가 온전하게 자랄 수 있다는 뜻인데요. 그만큼 육아는 어려운 일입니다. 건강하고 똑똑한 아기로 키우려면 많은 노력이 지속적으로 필요하겠습니다.  


[이미지출처] 1.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