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 이전의 발달이 미숙한 아기는 스스로 트림을 할 능력이 없어서 제대로 트림을 시켜주지 않으면 구토는 흔한 일입니다. 트림은 젖을 빨면서 공기를 공기를 들이마시기 때문에 분유 수유가 아닌 모유수유 시에도 트림은 꼭 필요해요. 하지만 트림을 못한 채 쉽게 구토를 하는 아기를 처음 보는 엄마는 그만큼 정신도 없고 당황스럽기 마련이에요. 그래서 신생아, 아기 구토의 대처는 매우 중요하지요. 아기가 아주 가볍게 토할 때는 분유를 그대로 먹여도 되고 구토가 심하고 탈수가 동반된 경우는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 |
신생아 아기 트림시키기: 조바심내지 마세요 |
어깨에서 턱을 받치거나 안아서 트림시켜요
알아서 트림을 하는 기특한 자녀도 있지만 많은 아기들이 혼자 트림을 하지 못하거나 한번에 시원하게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럴땐 엄마가 트림을 하도록 도와주어야 하는데요. 트림을 하면서 게워내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어깨에 가제수건을 올린 후 아기를 세워서 엄마의 어깨에 턱을 받쳐주고 등을 가볍게 손바닥으로 토닥이거나 문질러주거나 아래로 천천히 쓸어내립니다. 우유를 먹을 때, 음식물을 먹을 때도 옷이 더렵혀지기 쉽기 때문에 아기에게도 턱받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깨에 올리기 힘들면 가슴에 살짝 기대어서 토닥여주어야 하는데요. 목을 못 가누더라도 트림은 시켜야하기 때문에 아기를 세워 안은 후에 등을 문지르세요.
무릎에 앉히거나 누워서 트림시켜요
아기가 트림을 하지 못해 불편해 한다면 무릎에 두는 자세로 바꿔보세요. 아기의 머리와 가슴을 지지하고 무릎에 앉힌 후 다른쪽 손으로 등을 두드리거나 문지릅니다. 그래도 트림이 나오지 않는다면 엄마 허벅지와 무릎 위에 아기를 엎드려 등을 밑에서부터 두드리거나 쓸어줍니다.
5분 넘게 시도를 해도 트림을 하지 않았을 땐 어깨에 턱을 괴어 올린채 20~30분정도 자세를 유지합니다. 30분이 지나도록 트림을 시원하게 하지 못했을 땐 무리해서 시도하지말고 얼굴을 옆으로 돌려 눕혀서 재웁니다. 밤낮으로 새벽에도 수유 후에 트림을 해야하는 것이 정말 귀찮고 힘들기도 하지만 시원하게 "꺼~억" 하는 소리는 엄마의 기쁨이지요. 시원한 트림은 아기의 숙면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 |
아기가 구토할 때, 수분보충이 중요해요 |
구토를 할 때 무릎에 엎드려 몸을 기울이세요
엄마 허벅지와 무릎 위에 아기를 엎드린 후 몸을 60도로 기울여줍니다. 아기가 구토를 할 땐 여러 차례 게워내기보다는 한번에 다 토하는 것이 속이 더 편합니다. 구토를 한 뒤 1시간 동안은 물을 먹이지 말고 1~2시간 후부터 미지근한 물이나 보리차 등 수분을 공급해야하는데요. 한꺼번에 다량의 물을 주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아기가 이유식을 먹는 단계였다면덩어리 음식은 피해서 먹입니다.
수유량을 조절하세요.
분유를 먹어도 구토를 한다면 수유하는 양을 조금씩 나누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구토가 심하다면 평소의 반 정도의 농도로 타서 조금씩 나누어 먹이며 증상이 사라진 뒤에 분유를 먹입니다. 적은 양이라도 게우면 냄새가 심하기 때문에 구토를 자주 한다면 여벌옷을 챙기는 것이 좋은데요. 평소에 소화력이 약한 것 같다면 따뜻한 손으로 아기의 배와 등을 마사지하는 것이 도움이 되는데요. 배를 시계방향으로 문질러 진정시키면서 엄지나 검지 사이의 합곡혈과 손목과 팔꿈치 사이를 누르는 것도 좋습니다.
구토를 한 뒤에도 입속에 이물질이 기도를 막는 경우가 있어 구토 뒤 바닥에 눕힐 땐 옆으로 고개를 돌립니다. 그래서 입안에 남아있는 토사물이 때문에 숨을 못쉬는 것을 예방하고 밖으로 빠져나오게 하세요. 구토와 함께 설사가 나타나는 경우나 고열이 난다면 빨리 병원에 가는 것이 현명합니다. 또한 구토 후 8시간이 넘도록 소변을 보지 않는 등 탈수증상이 일어났거나 축 쳐져있다면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누리한의원 건강정보 더보기
아이 면역력지수 체크리스트와 어린이집, 유치원 단체생활증후군 없애는 방법 (0) | 2014.02.20 |
---|---|
천식이나 목감기, 가래, 기침에 좋은 음식 도라지, 길경차 (0) | 2014.02.19 |
조류 인플루엔자(조류 독감)과 신종 플루(독감) 예방법 (0) | 2014.02.13 |
밤에 잠 안자는 아기 재우는 방법 4가지 (0) | 2014.02.12 |
유산균 제품, 변비 설사때만 먹여야 할까? (0) | 2014.02.10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