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소리 지르는 아이 교육방법

본문

반응형
SMALL

만 2세 무렵 아이들은 자아가 형성되면서 자신의 의사를 확실하게 표현하기 시작합니다. 각종 욕구가 생겨나지만 말로 정확하게 자신이 원하는 바를 표현하기엔 역부족인데요.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느낀 아이는 자신이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게 됩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소리지르기인데요. 소리를 지르고 떼쓰는 상황을 빨리 끝내려는 생각에 부모님이 아이의 요구를 들어주게 되면 아이는 또다시 소리를 질러 자신의 요구를 표현하게 됩니다. 반복이 되다보면 고치기도 힘들어지고 아이의 인성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는데요. 소리지르는 아이 어떻게 교육시키면 좋을까요? 4가지방법을 전해드릴게요.





아이들은 왜 소리를 지르는 걸까요?

1. 소리지르는 행동 자체가 아이의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이기 때문입니다.

2. 부모의 관심을 끌려고 소리를 지르는 거에요.

3. 언어능력의 부족으로 소리를 지르는 거에요.



아이가 소리를 지르면 무시하세요

소리를 지르는 아이에 대한 대처법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무시입니다. 악을 쓰면서 소리를 막 질러대도 절대 동요하지 마시고 그 현장에서 한번 벗어나보세요. 자신을 봐주던 대상이 사라지면 아이는 더 이상 소리를 지르지 않고 이내 멈추게 될겁니다. 엄마가 자리를 뜨려는 순간이나 직후에 아이의 악쓰기가 더욱 심해지더라도 단호하게 잘 넘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조용히 이야기할 때만 반응을 보이세요

아이가 소리를 지를 때, 엄마는 차분하게 생각하면서 아이에게 작은 목소리로 "작은 목소리로 말해주겠니? 네가 소리를 지르면 엄마는 네 말을 들어줄 수가 없단다." 하고 아이의 눈을 똑바로 보면서 이야기해주세요. 그러면 아이는 앞으로 자신이 어떻게 말하고 행동해야 하는지를 깨닫게 됩니다. 모든 행동에 있어서 반응해주면 안됩니다. 아이가 조용히 이야기할 때만 아이에게 반응을 보여주세요.





아이와 규칙을 정하세요

아이의 동의를 얻고나서 엄마와 아이의 일정한 규칙을 정하세요. 만일 어길 경우에 아이의 행동을 통제할 만한 적절한 벌도 정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엄마부터 규칙을 반드시 지키고 아이가 규칙을 잘 지킬 경우 상을 주거나 칭찬해주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습니다. 엄마는 아이에게 규칙을 지키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본보기가 되어야 하고 아이가 규칙을 지켰을 경우에만 상을 주거나 칭찬을 해주어야 합니다. 아이는 이러한 엄마와의 규칙을 통해서 자기가 해야할 일, 하지 말아야 할 일을 정하게 되고 생각하게 됩니다.





생각의자에 앉히는 '타임아웃'을 해보세요

악을 쓰며 소리지르는 행동은 좋지 않다는 걸 말로 충분히 설명을 해주고 반복하지 않도록 먼저 경고를 주세요. 그럼에도 아이의 문제 행동이 지속된다면 생각하는 의자에 앉으라고 지시를 하세요. 아이가 앉지 않으면 강제로 의자에 앉히되 체벌을 가하는건 절대 금물입니다. 3분이 지나면 왜 그 자리에 앉게 되었는지 아이가 직접 이유를 말하게 하고 타임아웃을 종료하면 됩니다. 중요한건 잔소리는 삼가도록 하고, 타임아웃이 끝나면 마음껏 놀 수 있게 해주세요. 타임아웃을 시도할 때는 아이와 눈을 마주보고 부드러운 음성으로 확실하고 단호하게 말하며 감정을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인에 따라 행동의 기준을 분명히 정해두고 그 선을 넘을 경우에는 안된다는 것을 단호하게 알려줘야 합니다. 이런 태도로 아이를 지도하고 있는데도 여전히 소리를 지른다면 주변에 소리지르는 버릇을 가진 사람이 있는지를 한번 살펴보세요. 아빠나 엄마가 소리지르는 것을 아이가 보고 따라할 수도 있습니다. 아이에게는 환경이 중요하다는 것을 잊지마세요.


[이미지 출처] 1, 2, 3, 4, 5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