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소아 비만 해결하는 생활습관과 비만 측정 방법

본문

반응형
SMALL

먹을 것이 풍족해지고 사람들의 활동량은 적어지면서 이제 비만은 단순히 어른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아이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문제가 되었습니다. 영양 장애의 하나인 소아비만은 외국 뿐만 아니라 국내의 초등학생 5명 중 비만일 정도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소아비만은 몸무게가 많이 나간다는 사실보다 그로 인해 성장이 방해받고 자신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기 때문에 초기부터 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아비만의 다이어트 방법에 대해 알려드릴게요.

 

 소아비만

 

소아 비만 계산하는 방법: 표준체중과 비만도 측정


표준 체중 계산법

신장 151cm이상: (신장-100× 0.9

신장 105cm이하: (신장-100)

 

비만도 측정법 : 자녀의 체중-표준 체중/표준 체중 × 100

 

결과

20퍼센트 미만일 경우 정상

20퍼센트 이상~30퍼센트 미만일 경우 경도 비만

30퍼센트 이상~50퍼센트 미만일 경우 중등도 비만

50퍼센트 이상일 경우 고도 비만


소아비만 측정


부족한 운동과 잘못된 식습관이 소아비만을 초래해요

TV, 컴퓨터, 스마트폰 등 여러 매체들에 노출되면서 실외활동보다는 집에서 정적인 활동을 하는 자녀들이 증가하였는데요. 이러한 자녀들의 경우 치킨이나 피자 등의 고칼로리 음식을 많이 섭취하는 반면 소모하는 열량은 줄어들어서 몸무게는 더욱 늘게 되었습니다. 또한 비만의 원인으론 유전적인 요인도 배제할 수 없는데요. 연구 결과에 의하면 부모가 비만일 경우에 자녀의 80%, 부모 중 한 사람이 비만이라면 40%, 부모 둘다 비만이 아니라면 7% 정도 비만이 발생합니다. 하지만 아무리 유전적인 요인이 있다 하더라도 생활 습관을 바꾼다면 비만에서 탈출할 수 있습니다.

 

소아 비만 습관

 

   세끼를 챙겨 먹고 채소를 많이 섭취해요. 

특히 아침 식사는 하지 않았을 때 점심에 과식을 하거나 간식으로 당분이 많은 음식을 먹게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성장발달과 학습능력 향상에 좋은 아침을 섭취하고 세끼를 반드시 챙겨먹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음식을 먹기 시작해서 20~30분 정도가 지나야 호르몬이 분비되면서 뇌가 포만감을 느끼는 데요. 음식을 먹을 때 천천히 씹어먹으면 같은 양을 먹어도 포만감을 더 크게 느낄 수 있고 소화에도 좋습니다. 자녀가 평소 밥을 빨리 먹는다면 천천히 먹게끔 하세요.

지방질이 거의 없고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한 채소는 열량도 낮아서 비만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데에도 매우 효과적입니다. 채소는 포만감을 주는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소아 비만을 위한 닭가슴살 샐러드 만드는 방법:

1. 닭가슴살을 손질해서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르세요

2. 양상추와 파프리카를 먹기 좋게 잘라 냉수에 약 30분 정도 담근 후 건져놓고 방울토마토는 2등분 하세요

3. 달걀 2개를 삶아 익힌 후 4등분 하세요

4. 접시에 준비한 재료를 드레싱과 함께 섞어서 드세요

 

 

  운동은 가족들과 함께 하세요

정적인 활동에 익숙해졌을 때 갑자기 운동을 시키면 당연히 거부하지요. 이럴 때는 먼저 부모님과 함께 운동을 하면 가족들이 함께 땀흘리며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자녀도 거부감없이 운동에 친숙해집니다. 운동을 좋아하지는 않더라도 어느정도 움직이면서 땀을 낼 정도라면 어느 운동이라도 좋습니다. 어릴수록 많은 운동을 경험해서 싫어하는 운동이 싫게 하는 것이 중요한데요. 꼭 해야하는 운동을 정하기보다는 추운 겨울에는 스케이트와 눈썰매, 실외가 춥다면 볼링 등 협동을 요하는 놀이도 자녀가 싫증을 내지 않습니다. 

 

소아비만 관리  

 

백미터 달리기 선수와 마라톤 선수가 있었을 때 짧은 시간에 승부를 내야한다는 선수와 긴 시간 동안 페이스를 조절해가며 결승점에 골인할 때의 마음가짐은 다르지요. 다이어트도 마찬가지로 짧은 시간보다 장기적으로 관리를 해야 건강한 신체인 상태로 성공합니다. 당장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해서 조급해하지 말고 자녀에게 힘을 돋워주세요. 


이미지 출처[1, 2, 3, 4]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