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친구를 만들기 시작하면 부모는 아이의 성향을 고려하며 어떻게 친구들과 지내는지 자세히 살펴보게 됩니다. 은근슬쩍 마음속으로 친구와 비교도해가며 성격 좋은 아이로 자라길 바라곤 하지요. 하지만 아이들은 비슷해도 하나하나 다 다른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성격은 우유부단한 아이, 예민한 아이, 까칠한 아이 등 다양하게 존재하는데요. 특히 내 아이가 원만한 성격과 모난 성격 사이 평균에서 벗어난 '별난'성격을 갖고 있다면 부모님들은 걱정이 앞섭니다. 아이들의 별난 성격 고칠 수 있을까요?
![]() |
아이의 성격을 고치는 것이 가능한가요? |
성격은 어릴 때 선천적으로 지니고 태어난 기질에 성장하면서 환경적인 요인이 더해져 만들어집니다. 환경적 요인은 보통 만 3세 이후가 되면서 주위사람들과 접하고 사고를 하며 성격적 특성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따라서 아이의 성격을 원만하고 밝게 만들어주려면 태교부터 아이가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해요. 이때 부모님의 역할이 중요합니다.
아이는 부모의 성격을 유전적으로 물려받거나(타고난 성격), 부모가 하는 말과 행동을 보며 닮게 되는데요. 그 말은 부모가 어떻게 노력하느냐에 따라 아이의 성격이 바뀔 수 있다는 것이죠. 좋은 환경만 만들어주면 별난아이도 좋은 성격으로 키울 수 있습니다.
![]() |
별난 아이 유형별 대처법 |
그렇다면 이제 별난 아이를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 알아볼건데요. 여기서 가장 중요한 점은 부모가 먼저 아이의 기질을 온전히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에요. 아이의 기질을 100% 바꾸려고 하기보다는, 별난 기질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정기복이 심한 아이
아이가 스스로의 감정에 대해 어떤 상태인지 말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화났니? 슬프니?" 등 아이에게 여러가지 감정을 나타내는 말들을 표현해주고, 그 중 아이가 자신이 느끼는 감정이 어떤 것인지 고를 수 있게 해주세요. 그리고 그런 감정이 나타난 이유가 무엇인지 물어보세요. 아이가 이야기할 때는 중간에 끊지 말고 끝까지 들어주고, 다 들은 뒤에는 상황에 대한 대처 방법을 설명해주세요. 만약 아이가 한 행동이 잘못된 행동이라면 옳지 않은 것이라고 인지시켜주세요. 아무리 아이의 행동에 화가 나도 위압적인 태도로 아이를 혼내는 것은 안됩니다. 또는 너무 호들갑을 떨거나 걱정하는 것도 좋지 않아요.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아이
잘 참고, 스스로의 욕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은 어른들도 하기 힘든 어려운 일인데요. 아이들에겐 더 큰 일입니다. 아이가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 지나치면 문제가 될 수 있어요. 이런 아이를 둔 부모님은 '혹시 아이를 너무 억압한 것은 아닌가?'생각을 해보셔야 합니다.
좋을 때는 좋다고, 싫을 때는 싫다고 표현하는 것이 마음이 건강해질 수 있는 방법이에요. 아이가 화가났을 때는 스스로 '나 화났어요.'라고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울거나 짜증낼 때는 충분히 발산하게 한 뒤, 그 이유를 물어보세요. 울음을 참으려고 할 때도, 참지 말고 울라고 이야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예민한 아이
예민한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에 비해 감각을 느끼는 기관의 능력이 뛰어나요. 그렇기 때문에 주변 환경에도 예민하게 반응하는 것인데요. 시계소리, 물 떨어지는 소리에도 민감하게 반응하고 스트레스를 받을 때가 많습니다. 보통 이런 아이들은 커가면서 증세가 약해지는데요. 만약 5세 이후에도 과민할 정도로 예민한 성향을 보이면 개선이 필요합니다.
예민한 아이의 경우 처음부터 처음부터 또래가 많은 유치원에 보내기보다는, 먼저 1~2명의 아이들과 어울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의 앞에서 부모님이 싸우거나 큰 소리를 내는 것은 좋지 않아요. 아이가 시계소리에 민감하면 시계를 치워주고, 빛에 민감하면 빛을 가려주는 등 자극을 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완벽주의형 아이
보통 자존심이 센 완벽주의형 아이는 대부분 타고난 기질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은데요. 하지만 아이가 갑자기 이런 행동을 보인다면 아이의 심리 상태에 변화가 생겼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이가 완벽하고 싶어하는 모습은 보통 엄마와의 애착관계가 불안할 때 나타나요. 엄마와의 애정이 부족하기 때문에 칭찬을 받기 위해 완벽해지려고 애쓰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경우 아이의 문제에 대해 지적하고 비난하기 보다는, "만일 네가 실수를 해도, 엄마는 너를 사랑하고 너를 부족한 아이로 생각하지 않아"라고 안심시키는 것이 좋아요. 아이가 부족한 모습을 보일 때 부모가 더 관심을 보이고 안심을 시켜준다면 아이는 더 안정감을 느낍니다.
별난 아이와 별난 아이에 어떻게 대처하는지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부모님은 아이의 문제를 찾아 지적하기보다는, 아이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관심을 가져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아이가 별난 아이라고 생각이 되더라도, 아이의 기질을 온전히 이해하고 그에 맞는 양육을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에어컨 분리해서 청소하는 법! (4) | 2013.06.19 |
---|---|
갑자기 더워진 날씨, 음식 보관 어떻게 할까요? (0) | 2013.05.24 |
나들이 갈 때 식중독 예방하는 도시락 보관법 (0) | 2013.05.16 |
소아비만 예방하는 의식주 생활 클리닉 3가지 (0) | 2013.05.15 |
유아세제로 아이옷 빨래할 때 천연세제 만들어 사용하세요~ (0) | 2013.05.0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