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다자녀 가정 혜택 3가지로 가계에 도움을 받으세요~

본문

반응형
SMALL
현실적으로 보면 양육비, 교육비 등 자녀에 많은 비용이 들어가는 것이 사실입니다. 그렇다고 금쪽같은 아이를 포기할 수도 없는 노릇이에요. 또한 자녀가 많아질수록 키우기 벅차지는 것이 현실입니다. 하지만 다자녀 가정이라고 해서 아무 혜택이 없는 것이 아니에요~! 보건복지부에서 다자녀 가정을 위한 정부 혜택을 지원하고 있기 때문이죠.

그럼 다자녀 가정 혜택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을까요? 다자녀 주택 특별공급 정책부터 다자녀 우대카드 등 다자녀가구를 위한 국가 혜택이 있으니 최대한 수혜를 누리시는 것이 가정 경제에 도움이 되실거에요. 천천히 알아볼까요?

1. 다자녀가정 주택 특별공급

다자녀가정 주택특별공급


다자녀가정 주택 특별공급 지원사업은 3자녀 이상의 자녀를 둔 무주택 세대주에게 주택 건설량의 5%를 특별공급해주는 혜택입니다. 자녀는 입주자모집 공고일을 기준으로 만 20세 미만의 3명 이상의 자녀가 있는 경우여야 하며, 4자녀 이상일 경우 점수를 더 높게 받아 유리할 수 있어요.

다자녀가정 주택


제출서류는 특별공급신청서 및 배점 기준표 서류와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무주택 입증서류, 무주택 서약서, 주미등록등본 1통, 피부양 직계존속의 주민등록초본 1통, 가족관계증명서, 주민등록증 혹은 운전면허증, 인감증명서 및 인감도장, 청약통장 가입 확인서가 필요합니다. 다자녀가정 가구에 무주택 세대라면 꼭 지원하셔서 혜택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죠?

2. 다자녀가구 세제지원

자녀가 많으면 세제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기본 공제대상자에 해당하는 20세 이하 자녀가 2명 이상인 근로소득자 또는 사업소득자 분들은 자녀 1인당 150만원의 혜택을 받으실 수 있으며 자녀가 6세 이하이면 100만원 추가공제, 출산 또는 입양한 당해 연도 해당자녀에는 200만원 추가공제가 된답니다. 또한 자녀가 2인이면 연 100만원 추가공제, 자녀 2인 초과시에는 추가되는 한명 당 연 200만원씩 공제가 됩니다.

다자녀가구 세제지원


뿐만 아니라 교육비, 의료비, 보험료도 혜택을 받으실 수 있는데요. 영유아와 초중고생에는 1인당 300만원, 대학생은 1인당 900만원, 장애인 특수교육비는 전액 공제됩니다. 의료비는 자녀 의료비 중 총 급여의 3% 초과금액 최대 700만원까지 공제받을 수 있습니다. 보험료는 자녀의 보장성 보험료로 최대 100만원까지 혜택을 받으실 수 있어요. 신청방법은 연말정산시 소득공제 중 추가공제에서 신청하시면 되니 꼭 혜택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3. 다자녀 우대카드

다자녀 우대카드는 출산율을 증가시키기 위한 정부 지원사업의 일환인데요. 2~3명 이상의 다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가구에 다자녀 우대카드를 지원해주어 자녀를 양육하는데 부담을 덜어주는 지원 정책입니다. 지원대상이 다른 각 지방자치단체마다 자녀수, 거주 요건 등에 따라서 거주지의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각 지방자치단체와 협약을 맺은 대형마트, 금융기관, 문화시설 등을 이용할 때 할인 또는 면제 등의 다양한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다자녀 우대카드


각 지역별로 다자녀 우대카드의 이름과 지원혜택도 다른데요. 서울시는 ‘다둥이 행복카드’, 경기도는 ‘아이플러스카드’, 부산광역시는 ‘가족사랑카드’, 대구광역시는 ‘아이조아카드’, 인천광역시는 ‘아이모아카드’, 광주광역시는 ‘아이사랑카드’, 대전광역시는 ‘꿈나무 사랑카드’, 울산광역시는 ‘다자녀사랑카드’, 강원도는 ‘반디다복카드’, 충청북도는 ‘아이사랑 보너스카드’, 충청남도는 ‘다사랑카드’ 이렇게 이름도 다 다르고 혜택도 다르답니다. 정확한 혜택은 마음더하기 정책포털에서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다자녀 혜택 3가지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경제적인 문제 때문에 출산을 걱정하는 일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다자녀 가정이라면 꼭 혜택을 받으시길 바랄게요~ 출산이 곧 나라의 경쟁력이며 미래라고 생각해요. 출산을 위해 국가의 더 많은 지원정책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


반응형
LIST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